부신에 대한 모든 것
부신 선종 혹
by 스디로그
2025. 5. 15.
부신 선종 건강검진에서 ‘부신에 혹이 있다’는 말을 듣고 놀라셨나요? 그 혹이 바로 부신 선종일 수 있습니다. 부신 선종은 대개 양성 종양이지만, 때로는 전신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특히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능성 선종의 경우, 고혈압, 체중 증가, 당뇨, 감정기복 등 우리가 평소 겪는 다양한 증상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부신 선종 정의
부신 선종 일반적으로 성인 인구의 약 3~5%에서 발견되는 흔한 병변이며, 대부분은 건강에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기능성 선종의 경우 적극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정의 |
부신 피질에 생긴 양성 종양으로, 호르몬을 분비하기도 함 |
위치 |
신장 위쪽 부신의 피질층 |
크기 |
대부분 1~4cm 사이, 무증상일 수 있음 |
발견 경로 |
주로 건강검진 CT/MRI에서 우연히 발견됨 |
다양한 분류
비기능성 선종 |
호르몬 분비 없음 |
대부분 무증상, 추적관찰 대상 |
기능성 선종 |
호르몬 과잉 분비 |
증상 유발, 치료 또는 수술 필요 |
코르티솔 분비 선종 |
코르티솔 |
쿠싱증후군 |
알도스테론 분비 선종 |
알도스테론 |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
안드로겐 분비 선종 |
남성호르몬 |
여성의 다모증, 여드름 유발 등 |
부신 선종 주요 증상
부신 선종 호르몬의 종류와 양에 따라 매우 다양한 임상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애매하더라도 정밀 평가가 필요합니다.
- 대부분 증상이 없음
- 우연히 발견되어도 크기가 작고 성장 속도가 느릴 경우, 단순 추적 관리
코르티솔 |
복부비만, 얼굴 붓기, 고혈압, 당뇨, 피부 얇아짐 |
알도스테론 |
고혈압, 저칼륨혈증, 두통, 근육 약화 |
안드로겐 |
여드름, 다모증, 생리불순, 성격 변화 |
진단 방법
복부 CT |
선종의 크기, 모양, 경계, 밀도 확인 |
MRI |
갈색세포종 감별, 고밀도 병변 확인 |
PET-CT |
악성 여부 확인, 대사 활성도 분석 |
혈중 코르티솔, ACTH |
쿠싱증후군 여부 확인 |
24시간 소변 코르티솔 |
일중 총량 확인 |
알도스테론/레닌 비율 |
고알도스테론증 진단 |
DHEA-S, 테스토스테론 |
안드로겐 분비 확인 |
염분 부하 검사 |
알도스테론 분비 억제 여부 확인 |
수술이 필요한 기준
수술은 보통 복강경 부신절제술로 진행되며, 대부분 안전하고 회복 속도가 빠릅니다.
비기능성이고 크기가 작다면 수술 없이 정기적 추적 관찰이 일반적입니다.
기능성 여부 |
호르몬 과잉 → 전신 질환 유발 |
크기 ≥ 4cm |
악성 가능성 증가 |
성장 속도 |
크기 증가 속도가 빠르면 제거 고려 |
영상 소견 |
경계 불명확, 괴사, 석회화 등 비정형 소견 |
치료 유형
복강경 수술 |
절개 최소화, 회복 빠름 |
개복 수술 |
종양 크기 크거나 인접 장기 침범 시 |
양측 절제 시 |
평생 호르몬 대체 요법 필요 (스테로이드 복용) |
코르티솔 과잉 |
케토코나졸, 메티라폰 |
알도스테론 과잉 |
스피로놀락톤, 에플레레논 |
수술 전 조절 |
고혈압, 전해질 이상 먼저 조절 후 수술 시행 |
예후와 관리
비기능성 선종 |
대부분 예후 매우 좋음 |
기능성 선종 |
수술 시 증상 완화, 고혈압 등 개선 가능 |
악성 종양 |
부신암은 드물지만 조기 진단 중요 |
통증 |
경미, 복강경의 경우 회복 빠름 |
재활 |
1~2주면 일상 복귀 가능 |
호르몬 조절 |
일시적 부신기능저하 가능 → 추적 검사 필요 |
CT/MRI |
6개월~1년 간격 |
호르몬 검사 |
증상 재발 여부 확인 |
부신 선종 대부분 무해하지만, 작고 조용한 덩어리가 전신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환이기도 합니다.
특히 기능성 선종은 혈압, 혈당, 체중, 감정 상태까지 변화시키며 만성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제는 단순히 ‘혹’으로 넘기지 말고, 전문가의 정밀 진단과 관리로 내 몸의 호르몬 밸런스를 지켜야 할 때입니다.
부신 선종, 조용하지만 체계를 흔드는 존재입니다. 알고 대비하면 두렵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