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신에 대한 모든 것

부신 알도스테론 수분 보존

by 스디로그 2025. 5. 15.
반응형

부신 알도스테론 검사에서 칼륨수치가 낮거나 자꾸 붓는다면 단순한 혈압 문제를 넘어 호르몬 불균형, 특히 **‘알도스테론’**의 이상 분비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알도스테론은 부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체내 나트륨과 수분을 보존하고 칼륨을 배출하며 혈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 알도스테론이 과도하거나 부족하게 분비되면 고혈압, 저칼륨혈증, 탈수, 근육 약화 등 다양한 전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부신 알도스테론 중요한 역할

부신 알도스테론  알도스테론은 광물질코르티코이드(mineralocorticoid) 호르몬의 대표격으로, 체내 수분과 염분의 균형을 유지하여 혈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호르몬명 알도스테론 (Aldosterone)
분비 기관 부신피질의 사구대(zona glomerulosa)
주요 기능 나트륨 재흡수, 칼륨 배출, 체내 수분량 조절, 혈압 유지
작용 부위 주로 신장의 원위세뇨관 및 집합관

 


부신 알도스테론 분비 메커니즘

부신 알도스테론 이 시스템은 혈압이 낮아졌을 때 자동으로 작동하며, 알도스테론은 결국 혈압을 복구하고, 체내 수분량을 보존하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1단계 신장: 혈류량↓ → 레닌 분비
2단계 레닌 → 안지오텐신 I 활성화
3단계 안지오텐신 I → ACE 통해 안지오텐신 II로 전환
4단계 안지오텐신 II → 부신피질 자극 → 알도스테론 분비 증가
결과 나트륨 재흡수↑, 칼륨 배출↑ → 혈압 유지

 


부신 알도스테론 주요 기능

부신 알도스테론 특히 나트륨과 수분의 재흡수 작용으로 인해 혈압 유지와 탈수 방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칼륨 수치가 조절되지 않는 사람들은 반드시 알도스테론 기능을 평가해봐야 합니다.

나트륨 재흡수 신장에서 나트륨을 재흡수 → 수분도 함께 흡수됨
칼륨 배출 칼륨은 소변으로 배출되어 전해질 균형 유지
수분 보존 혈류량 증가 → 혈압 안정화
산-염기 균형 수소이온 배출 → 산증 조절에 기여

 


과잉과 결핍에 따른 질환

알도스테론 분비 종양 (Conn syndrome) 가장 흔한 원인, 단측성 선종
양측성 부신 과형성 기능성 증식으로 인해 과도한 분비
고혈압 특히 젊은 연령에서 조절 안 되는 고혈압
저칼륨혈증 근육 경련, 무기력, 부정맥 가능성
빈뇨, 다뇨 소변량 증가, 탈수 유발 가능성
두통, 피로감 전해질 이상으로 인한 전신 증상
부신 자체의 파괴 자가면역성 부신염, 결핵, 감염 등
뇌하수체 이상 ACTH 부족으로 간접적으로 알도스테론 저하
저혈압 탈수, 쇼크 위험 증가
고칼륨혈증 근육 마비, 심장 부정맥 가능성
탈수 수분 재흡수 감소로 인한 소실
식욕 부진, 체중 감소 전신 에너지 대사 저하

검사 방법

알도스테론/레닌 비율 (ARR)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스크리닝 검사 전 이뇨제, ACEi, ARB 중단 필요
혈중 알도스테론 분비량 직접 측정 체위, 염분 섭취량에 따라 영향 받음
24시간 소변 전해질 검사 나트륨, 칼륨 배출량 분석 전해질 균형 확인
식염 부하 검사 고염분 섭취 후 알도스테론 반응 확인 확진 검사로 사용됨
부신 CT/MRI 구조적 이상 여부 확인 종양 유무, 양측성 평가 등

이상 시 치료

① 알도스테론 과잉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수술 (부신절제술) 단측성 종양인 경우 복강경으로 종양 제거
약물치료 양측성 과형성 또는 수술 불가 스피로놀락톤, 에플레레논 등 항알도스테론제
고혈압 조절 혈압 약제 병행 필요 CCB, ACEi 등 병용 가능

② 알도스테론 결핍

플루드로코르티손 (Florinef) 알도스테론 대체 치료
염분 보충 식이염 권장 (1일 3~5g 수준)
코르티솔 보충 (하이드로코르티손) 애디슨병 환자에서 병행 사용

생활 관리

나트륨 섭취 결핍 시에는 충분히, 과잉 시 제한 필요
칼륨 섭취 고칼륨혈증 예방 or 보충 조절
수분 섭취 탈수 방지 및 전해질 유지 필수
가공식품 나트륨 과다 함유 → 고혈압 환자 주의
혈압 자가 측정 이상 조기 확인
스트레스 관리 부신 피로 방지
수면 개선 생체리듬 회복, 호르몬 균형 유지
체중 관리 복부비만은 부신 질환과 연관 가능성↑

부신 알도스테론 우리가 평소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 혈압, 전해질 균형, 수분 유지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조용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호르몬의 균형이 깨질 경우, 단순한 피로나 고혈압을 넘어서 근육 이상, 심장 부정맥, 쇼크, 전신적인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지금이 바로 알도스테론을 체크해야 할 시기입니다. 작지만 결정적인 호르몬, 알도스테론.
그 기능을 알고 조절하는 것이 건강한 삶의 첫걸음입니다.

반응형

'부신에 대한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신 건강검진 체크포인트  (0) 2025.05.15
부신 절제술 회복  (0) 2025.05.15
부신 선종 혹  (0) 2025.05.15
부신 보조제 선택  (0) 2025.05.15
부신 노르아드레날린 교감신경  (0) 2025.05.15